배경색상 : 1 2 3 4
교시명 안내 아이콘 이미지 1교시 비트코인 네트워크 노드와 비트코인 주소 생성
강의리스트 항목을 클릭하여 강의를 계속 진행해 주세요

학습목표 아이콘 이미지 학습목표

  • 비트코인 네트워크 노드(채굴노드, 풀노드, SPV노드)와 Peer 노드 검색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 비트코인 주소의 생성 절차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학습내용 아이콘 이미지 학습내용

  1. 비트코인 네트워크 노드는 채굴노드, 풀노드, SPV노드로 구분된다. 풀노드는 전체 거래내역을 가지며, 채굴을 통해 생성된 블록의 검증을 수행한다. 검증을 담당하는 모든 풀노드가 채굴노드는 아니다.
  2. Peer 노드 검색을 위하여 이전에 연결했던 Peer 주소를 캐시에서 가져오며, 캐시 방법이 실패하면, 60초 동안 DNS Seed 방법을 사용한다. 캐시와 Seed 방법들이 실패하면, 마지막으로 chainparamsseeds.h 파일에 하드코드된 IP주소를 사용한다.
  3. 비트코인 계좌를 만들면 자동 생성되는 개인키는 송금 시에 본인을 증명하는 전자서명에 사용되며, 공개키에 해시연산과 베이스58 인코딩하여 29~35바이트의 비트코인 주소를 생성한다.

학습퀴즈 아이콘 이미지 학습퀴즈

퀴즈 정답 표시 이미지
퀴즈 정답 표시 이미지
비트코인 네트워크 노드의 설명 중 틀린 것을 고르시오.
정답: 2
해설: 풀노드는 전체 거래내역을 가지며, 채굴을 통해 생성된 블록의 검증을 수행한다. 검증을 담당하는 모든 풀노드가 채굴노드는 아니다.


퀴즈 정답 표시 이미지
퀴즈 정답 표시 이미지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Peer 노드의 검색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해설]
  • 1단계: 비트코인 클라이언트는 이전에 연결했던 Peer 주소를 캐시에서 가져온다.
  • 2단계: 캐시 방법이 실패하면, 60초 동안 DNS Seed 방법을 사용한다.
  • 3단계: 위의 방법들이 실패하면, 마지막으로 chainparamsseeds.h 파일에 하드코드된 IP주소를 사용한다.


퀴즈 정답 표시 이미지
퀴즈 정답 표시 이미지
비트코인 주소 생성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해설]
  • 난수 생성기를 이용하여 개인키를 생성 후, 타원곡선 곱셈함수로 공개키를 생성한다. 생성된 공개키에 해시연산과 베이스58 인코딩하여 29~35바이트의 비트코인 주소를 생성한다.

학습노트 아이콘 이미지 학습노트


용어해설 아이콘 이미지 용어해설

  • 하드코딩
    설정사항이나 코드 등의 시스템적으로 사용하는 변수 값들을 변수에 담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소스코드에 입력하는 코딩 방식이다.
  • 인코딩
    컴퓨터를 이용하여 영상, 이미지 또는 소리 데이터를 생성할 때, 원래의 데이터양을 줄이기 위하여 데이터를 코드화하고 압축하는 것이다.
  • 베이스58
    큰 숫자를 영숫자(alphanumeric) 텍스트로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이진 텍스트 인코딩 방식이다.
  • 체크섬
    오류 검출 방식의 하나이다. 데이터의 입력이나 전송 시에 제대로 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입력 데이터나 전송 데이터의 맨 마지막에 모든 데이터를 다 합한 합계를 따로 보내는 것이다.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측에서는 하나씩 받아들여 합산한 다음 이를 최종적으로 들어온 검사 합계와 비교하여 착오가 있는지를 점검한다.
  • 페이로드(payload)
    전송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